강선마을 곰배령이야

  • 홈
강선마을 곰배령이야 이미지

포토앨범

커뮤니티 > 포토앨범
 
100억원대 피해금액 [단독] 청담동 발칵 뒤집은 '에르메스' 사기에 피해자들 속앓이만
 작성자 : 이영진
Date : 2020-12-10 23:52  |  Hit : 12  
[단독] 청담동 발칵 뒤집은 '에르메스' 사기에 피해자들 속앓이만

입력 2020.12.08. 08:02

https://news.v.daum.net/v/20201208080203928?x_trkm=t

중고 명품업체 대표 잠적으로 피해 금액 100억 달해..유명 연예인 H·재벌가·판검사 가족도 당해

고객들 위탁 물건으로 수백억 대출받아
이 대표는 '라메종에이치(La maison h)'를 2014년 7월 설립했다. 고가 시계·가방 등 중고 명품의 위탁판매·매입 및 해외구매대행 등을 했다. 특히 국내에서 구하기 어렵다는 에르메스 가방을 전문적으로 팔았다. 
라메종의 '에이치(h)'는 에르메스(Hermes)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원산지가 프랑스인 에르메스는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명품 패션 브랜드다. 특히 에르메스 가방은 최소 1000만원에서 최대 1억원을 호가하며, 돈 주고도 못 산다는 얘기를 듣는다. 에르메스 공식 매장에서 수천만원의 구매 실적이 있어야 가방을 주문할 수 있는 자격조건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라메종에이치 같은 중고 명품업체를 통하면 그런 비용 없이 에르메스 가방을 구입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대표는 에르메스 가방을 시중 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면서, 강남 부호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탔다. 실제로 고객 대다수가 에르메스 가방을 구입하려다가 피해를 본 상황이다. 사기 피해 공유 사이트 '더치트'에 등록된 이 대표 관련 피해 사례 37건 중 35건의 피해 물품이 에르메스 가방이었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그동안 이 대표는 고객들이 의뢰한 고가의 명품과 시계 등을 사기 위해 물건값의 50~100%를 선납받았다. 이 중 수억원의 돈을 일시불로 선납한 피해자도 여러 명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올해 8월 라메종에이치는 내부 수리를 이유로 영업을 중단했다. 이 대표는 물건을 주문한 고객들에게 '배송이 늦어진다. 조금만 기다려 달라'며 시간을 끌었다. 피해자들은 이 대표가 오랫동안 중고 명품업체를 운영했으며, 명성이 자자한 탓에 '언젠가는 받을 수 있겠지'라고만 생각했다고 한다. 이후 몇몇 고객이 이 대표를 고소하자, 그는 잠적했다.

이 대표 사건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한 피해자는 "피해자들이 위탁한 물건을 반환하지도, 보여주지도 않고 있다. 선납한 돈도 돌려줄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며 "오히려 자신을 고소하면, 돈을 안 주겠다고 협박까지 하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고객들 전화번호를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사실상 파산을 선언한 상태다. 이 대표는 수년간 중고 명품업계에 종사하면서 고객들과 신뢰를 쌓았다. 그런 그가 갑자기 고객들의 돈과 물건을 가지고 잠적한 이유는 무엇일까.

시사저널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이 대표는 그동안 사채와 지인들로부터 수십억원의 빚을 지고 있는 상태였다. 이 대표가 거주했던 서울 성수동 두산트리마제 아파트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각종 금융기관과 개인들로부터 총 8건의 압류가 잡힌 것으로 나타났다. 압류권자 중에는 국세청도 있다. 이 대표는 지난해 국세청 세무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지방세·국세 등을 체납한 것으로 파악된다. 올해 5월 성동구청은 이 대표 집을 압류했다. 10월에는 성동세무서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이 대표 집에 압류를 걸어놓은 상태다. 

유명 연예인 H씨 측 "피해를 당한 건 맞다"
이뿐만이 아니다. 2014년 4월 이 대표가 두산트리마제 아파트를 매입(14억7500만원)한 이후 대부업체와 은행, 개인들이 총 47억9560만원의 근저당을 설정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런데 근저당권자 중에는 유명 연예인 H씨와 그의 어머니 이아무개씨가 등장한다.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2017년 11월17일 이씨가 이 대표에게 12억원을 빌려줘 근저당권자가 됐다. 2019년 11월18일 H씨가 이 대표 아파트에 5억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의 유명 병원장 출신도 이 대표에게 수십억원의 돈을 빌려준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이 대표 집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해당 인사는 올해 9월25일 이 대표의 집에 15억원의 근저당권과 3억원의 전세권을 설정했다. 

내부에는 각종 인테리어 기자재가 너저분하게 있었다. 그렇다면 피해자들이 위탁한 그 많은 물건은 어디로 사라진 걸까. 시사저널 취재에 따르면 이 대표가 피해자들 물건을 담보로 제3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피해자들의 증언을 종합하면 이 대표가 100억원 이상의 위탁 물건을 담보로, 강남에 있는 전당포와 대부업체들로부터 50억~70억원을 대출받았다고 한다.

구설에 오를까 고소 못 하는 피해자도 상당수
이 사건으로 강남에 있는 제3금융권들도 발칵 뒤집어졌다. 전당포와 대부업체들 역시 이 대표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대표가 담보로 맡긴 피해자들의 물건을 처분해 수익을 남길 수도 있지만, 자칫 '업무상 과실장물취득죄'가 성립될 수 있기 때문에 난감한 상황이다. 형사사건 전문인 한 변호사는 "전당포주가 물품을 전당 잡을 때 전당물주의 주소·성명·연령·직업·전당 동기 등 그 신분에 상응한 물건인지 여부를 알아야 할 주의 의무가 있다"며 "이를 게을리해 장물인 점을 모르고 전당 잡을 경우 업무상 과실장물취득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피해자 중에는 대기업 H사와 L사 오너 일가와 고위 공직자를 비롯해 현직 판검사 가족들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자칫 구설에 오를까봐 이 대표를 고소하지 않고 있는 피해자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강남경찰서는 "수사가 진행 중이다. 피의사실에 대해서는 자세히 이야기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남 큰손들의 현금, 대부업체와 전당포로 흘러들어간다
수년 전부터 강남 큰손들은 제3금융업에 투자하고 있다. 부동산과 주식 등은 변동성이 큰 반면 대부업과 전당포 등은 수익률이 높으면서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각종 동산과 부동산을 담보로 고금리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대부업법상 대부업체 최고금리는 24%다. 강남 큰손들 입장에서는 대부업만 한 투자처도 없는 셈이다.